맨위로가기

제2차 아편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아편 전쟁은 1856년부터 1860년까지 영국과 프랑스가 청나라를 상대로 벌인 전쟁이다. 1842년 난징 조약 이후에도 영국과의 갈등이 지속되면서, 애로호 사건과 프랑스 선교사 살해 사건을 계기로 전쟁이 발발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광저우를 점령하고 톈진 조약을 체결했으나, 청나라의 반발로 전쟁이 재개되어 베이징을 점령하고 베이징 조약을 맺었다. 이로 인해 청나라는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아편 거래가 합법화되었으며, 여러 항구가 개방되는 등 주권을 크게 잃었다. 제2차 아편 전쟁은 청나라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침략을 심화시켰으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일본은 서구 열강의 위협을 느껴 메이지 유신을 통한 근대화 개혁을 추진하게 되었고, 조선 역시 국제 정세 변화에 대한 경계심을 높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아편 전쟁 - 다구포대
    다구포대는 중국 톈진에 위치했던 요새로, 명나라 시기에 처음 구축되어 아편 전쟁과 의화단 운동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일부 포대 터가 복원되어 공개되어 있다.
  • 1859년 중국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 1859년 중국 - 태평천국의 난
    홍수전이 세운 태평천국이 청나라에 대항하여 1851년부터 1864년까지 일으킨 대규모 내란으로, 아편전쟁 이후 사회 경제적 혼란과 만주족 지배에 대한 한족의 불만이 고조된 상황에서 기독교 사상과 천조전묘제도 등의 개혁을 추구했으나 청나라 군대와 서구 열강의 개입으로 진압되어 청나라 쇠퇴를 가속화하고 이후 혁명 운동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으며 양자강 삼각주 지역의 인구 감소 및 경제 구조 변화를 초래했다.
  • 1857년 중국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 1857년 중국 - 태평천국의 난
    홍수전이 세운 태평천국이 청나라에 대항하여 1851년부터 1864년까지 일으킨 대규모 내란으로, 아편전쟁 이후 사회 경제적 혼란과 만주족 지배에 대한 한족의 불만이 고조된 상황에서 기독교 사상과 천조전묘제도 등의 개혁을 추구했으나 청나라 군대와 서구 열강의 개입으로 진압되어 청나라 쇠퇴를 가속화하고 이후 혁명 운동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으며 양자강 삼각주 지역의 인구 감소 및 경제 구조 변화를 초래했다.
제2차 아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팔리카오 전투의 저녁, 에밀 바야르 그림
팔리카오 다리, 팔리카오 전투 저녁, 에밀 바야르 그림
분쟁 명칭제2차 아편 전쟁
다른 명칭아로 전쟁
일부아편 전쟁
기간1856년 10월 8일 - 1860년 10월 24일
장소중국
영토 변경구룡반도 및 스톤커터스 섬이 영국령 홍콩의 일부로 할양됨
외만주가 러시아에 할양됨
결과연합군 승리 (여파 참조)
교전 세력
교전국 1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빅토리아 여왕
파머스턴 경
더비 경
마이클 시모어
찰스 반 스트라우벤지
제임스 그랜트
나폴레옹 3세
리고 드 주누이
샤를 쿠쟁몽토방
앤드루 헐 푸트
조시아 태트널 3세
알렉산드르 2세
알렉산드르 체르니쇼프
알렉세이 표도로비치 오를로프
필리프 폰 브룬노
청나라 지휘관함풍제
공친왕 혁흔
엽명침
셍게린첸
병력 규모
연합군 병력13,127명
7,000명
청나라 병력7,400명 (팔기군 및 녹영군)
피해 규모
연합군 피해: 134명 사망, 642명 부상, 포함 3척 침몰, 포함 3척 좌초, 발사정 1척 파괴, 포함 1척 손상
: 25명 이상 사망, 146명 이상 부상
: 11명 사망, 23명 부상, 슬루프 2척 손상, 발사정 1척 손상
청나라 피해2,100–2,801명 사망 및 부상
2,100명 포로
10개 이상의 요새 점령
736문의 총과 포획된 포병 무기
99–109척 이상의 군함 나포 또는 파괴
관련 전투

2. 배경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영국은 청나라와의 무역에서 큰 이익을 기대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청나라의 자급자족 경제 구조, 아편 수입으로 인한 은 유출, 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배외(排外) 운동 등이 영국의 무역 확대를 방해했다. 영국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청나라에 지속적으로 시장 개방을 요구했고, 이는 1851년 태평천국 운동 발발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영국은 난징 조약 개정을 통해 내륙 시장 진출, 아편 무역 합법화 등을 추진하려 했다. 1854년 영국, 프랑스, 미국은 공동으로 청나라에 조약 개정을 요구했지만, 청나라 조정은 이를 거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56년 애로호 사건이 발생하면서 영국은 무력 개입의 명분을 얻게 되었다.

한편, 1851년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 청나라 내부 상황은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영국은 청나라 중앙 정부와 직접 협상을 원했지만, 청나라는 외교 창구를 광동 흠차대신으로 제한하며 이를 거부했다. 영국은 베이징에 외교 사절단을 상주시켜 직접 협상 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2. 1. 제1차 아편 전쟁의 결과와 영국의 불만

제1차 아편 전쟁(1839~1842년) 이후 영국난징 조약(1842년)을 통해 홍콩 섬을 할양받고 5개 항구를 개방하는 등 유리한 조건을 얻었지만, 기대만큼 무역이 확대되지 않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었다.

  • 청나라 농촌에서 생산되는 면포가 저렴하고 품질이 좋았다.
  • 청나라의 사회경제적 구조는 자급자족적인 성격이 강해 수입품을 꺼렸다.
  • 아편 수입 증가로 은이 유출되어 구매력이 감소했다.
  • 광동을 중심으로 외국인을 배척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영국은 대(對)중국 무역에서 여전히 차를 수입하고 아편을 수출하는 데 그쳤다. 이에 영국은 지속적으로 시장 개방 확대를 청나라에 요구했고, 이는 1851년 태평천국 운동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영국은 난징 조약 개정을 청나라에 요구했다. 1854년 4월, 영국, 프랑스, 미국 공사는 광저우에서 양광총독(兩廣總督) 섭명침(葉名琛)에게 내륙 및 연해 도시 개방, 상선과 군함의 양쯔강 자유 왕래, 아편 무역 합법화, 내륙 통관세 폐지, 외국 사절의 베이징 상주 등을 요구했다.

영국은 내륙 시장 진출과 북쪽 항구 개방을 통해 무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1856년 5월, 미국 공사는 광저우에서 공사의 베이징 상주, 중국 전역 개방, 선교 자유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청나라 조정은 조약 개정에 응하지 않았고, 영국은 무력 사용을 고려하게 되었다.

2. 2. 청나라의 내부 상황

1851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여 청나라의 사회경제적 혼란이 가중되었고, 이는 서구 열강의 개입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이 되었다.[8] 청나라 조정은 조약 개정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는 영국이 무력 사용을 고려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8]

영국 정부는 청나라 중앙 정부와 직접 협상을 시도했지만, 청나라 중앙 정부는 외교 창구는 흠차대신이라고 하며 이를 거절했다. 영국 정부는 영국인의 광저우 입성권과 다른 체류지에서의 자유 확보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가 절실한 과제였지만, 흠차대신과의 협상은 지지부진했다. 따라서 영국은 베이징의 청나라 조정과 직접 협상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는 후에 베이징에 상주 외교 사절단과 상주 공사관의 설립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어졌다.[8]

통상면에서 영국 정부의 요구는 다음과 같았다.[8]

  • 현 상태의 대도시에서 떨어진 불편한 개항 5개 항구 외에 쑤저우, 항저우와 같은 편리한 도시를 새롭게 개항하는 것
  • 부패가 만연하고 기능 부전을 일으키고 있는 담당 부서를 개혁하는 것
  • 영국인에게 불리한 기존의 징세 기구 대신 새로운 징세 기구를 설치하는 것

2. 3. 조약 개정 요구와 애로호 사건

1854년 영국은 프랑스, 미국과 함께 난징 조약 개정을 요구했다. 이들은 내륙 시장 개방, 아편 무역 합법화, 외국 사절의 베이징 주재 등을 요구했다. 1856년 10월 8일, 광저우 앞 주강에 정박 중이던 애로호에서 영국 국기 하강 사건(애로호 사건)이 발생했다.[47] 이는 영국에게 전쟁의 구실을 제공했다.

당시 영국 총리 헨리 존 템플(파머스턴 자작)은 이 사건을 빌미로 의회에 군비 증강을 요청했다. 의회에서 부결되자 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를 통해 대중국 전쟁에 대한 동의를 얻어냈다.[48]

2. 4. 프랑스의 참전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 오귀스트 샤프들렌의 처형은 제2차 아편 전쟁에서 프랑스가 개입한 공식적인 원인이었다.


프랑스는 자국 특사 장바티스트 루이 그로 남작의 불만을 계기로 중국에 대한 영국의 행동에 동참했다. 이는 당시 외국인에게 개방되지 않았던 광시성에서 중국 지방 당국이 프랑스 선교사 오귀스트 샤프들렌[16]을 처형한 것에 대한 항의였다.

영국과 프랑스는 마이클 시모어 제독 휘하에서 연합했다. 1857년 말, 영국-프랑스 연합군은 광저우를 공격해 점령했다. 연합 위원회가 결성되었고, 연합군은 승자를 대신하여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도시 지사를 그대로 유임시켰다. 영국-프랑스 동맹은 광저우를 거의 4년 동안 통제했다.

그 후 연합군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1858년 5월 톈진 인근의 다구 포대를 잠시 점령했다.

3. 제2차 아편전쟁의 전개

1857년 영국은 애로호 사건을 구실로 프랑스와 연합군을 구성해 광저우를 공격했다. 영국 해군은 주강의 광저우 근처 포대를 점령했고, 예밍천은 중국 군인들에게 저항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1857년 12월 29일 영불 연합군은 광저우를 점령하고 예밍천을 사로잡았다.

1858년 연합군은 북상하여 톈진을 점령하고 톈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공사의 베이징 주재, 기독교 포교 승인, 내륙 하천 상선 항행 승인, 영불에 대한 배상금 지급 등이 결정되었고, 아편 수입이 공인되었다. 미국러시아 제국은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조약 개정에는 참여했다.

1859년 6월 17일, 톈진 조약 비준을 위해 백하구로 온 영불 함대는 승격림심이 이끄는 청군에게 패배하여 상하이로 물러났다.

1860년 영불 연합군은 다시 진격하여 청나라 포대를 점령하고 청나라와 교섭을 시도했다. 그러나 파크스 등이 청나라에 의해 붙잡혀 고문 끝에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협상은 결렬되었고, 연합군은 베이징으로 접근했다. 함풍제는 열하로 피난했다.

3. 1. 광저우 점령과 톈진 조약

1857년 영국은 애로호 사건을 구실로 프랑스와 연합군을 구성해 광저우 시내로 침입하여 그해 12월, 광저우를 점령하고 시가지 곳곳에 불을 지르고 민간인을 살해했다.[6] 영국-프랑스 연합군은 광저우를 점령한 이후 3년 동안 지방관의 괴뢰 정권을 앞세워 연합군위원회(영국, 프랑스)의 점령 행정을 실시했다.[6] 이후 1858년 영국-프랑스 연합군은 북상하여 다구 포대를 점령하였고, 베이징의 관문인 톈진까지 점령하자 청 정부는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톈진 조약을 맺었다.[6] 러시아미국은 전쟁 후반기에 협력을 제의하였으나, 실제로 군사적인 도움을 주지는 않았다.[6]

1858년 6월에 맺어진 톈진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6]

  •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은 베이징에 외교 사절이 상주할 권리를 가진다.
  • 무역을 위해 10개의 항구를 개방한다.
  • 외국 상선의 자유로운 장강 통상을 승인한다.
  • 이전에 금지했던 중국 내 외국인 여행을 허가한다.
  • 아편 무역을 합법화한다.
  • 개항 항구를 확대한다.
  • 기독교를 공인한다.
  • 영국과 프랑스 두 나라에 대한 배상금으로 200만 냥을 지불한다.
  • 영국 상인에게 재산 손실의 위로금으로 은 200만 냥을 지불한다.
  • 배상금을 낼 때까지 광둥성과 보장을 점령한다.
  • 애로호 사건의 결과로 체결되었다.

3. 2. 전쟁의 재개와 베이징 조약

청나라 강경파들은 톈진 조약의 무효를 주장했고, 1858년 후반 베이징에서 톈진 조약 비준을 강행하려는 영-프 연합군을 막기 위해 다구 포대에 포대와 기병을 추가 배치하였다.[6] 1859년, 톈진 조약 비준을 위해 다구 포대를 통과하려던 영-프 연합군은 청군과 충돌하여 패배했다.[7] 이 전투에서 영국 함대는 상당한 피해를 입고 근방에 있던 미국군 조시아 탈트날(Josiah Tattnall)의 도움을 받아 철수했고, 이 잠깐의 승리로 청나라 정부에서는 강경론이 득세하였다.

1860년 6월, 영국과 프랑스는 전년도의 패배를 설욕하고자 1859년의 소함대보다 8배가 넘는 병력과 군함을 모아 발해만의 여러 항구를 점령하고 다구 포대에서 떨어진 곳에 병력을 상륙시켰다.[8] 다구 포대와 청나라 정부의 방어군을 격파한 영-프 연합군에 놀란 청나라 조정은 평화 협상을 제의했지만, 영-프 측은 협상을 거절하였다.

9월 하순, 프랑스군과 영국군은 베이징 근교 퉁저우 장자완과 바리차오에서 청나라 군대를 패퇴시켰다. 프랑스군 사령관 샤를 쿠생몽토방(Charles Cousin-Montauban)은 귀국 후 나폴레옹 3세 황제로부터 팔리카오 백작(Comte de Palikao)이라는 작위를 받았다. 이윽고 그들은 10월 베이징에 입성하였지만, 점령하지는 않고 베이징 근교에 머물렀다. 베이징에 머무는 과정에서 연합군은 수많은 약탈과 방화를 자행했다.

함풍제는 베이징에서 멀리 북쪽으로 떨어진 여름 별장으로 피신하였고, 황제의 동생인 공친왕을 남겨 협상을 하게 하였다. 연합군은 베이징 근방에 주둔한 후, 황제의 별궁인 원명원으로 쳐들어갔다. 영-프 연합군은 금은 세공품과 장식품 등을 약탈 후 원명원에 불을 질렀다.[9]

공친왕과 영-프 연합군의 협상에 의하여 전쟁은 종결되었고, 러시아 제국의 중재하에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었다.[10] 베이징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톈진 조약 인정
  • 아편 거래 합법화
  • 외국 공사의 베이징 주재
  • 톈진을 포함한 11개 항구 개항
  • 내지에서의 여행, 통상, 포교의 자유
  • 장강 및 통상항으로의 군함 진입권
  • 청나라 노동자의 이민 허용
  • 영국-프랑스에 전쟁 배상금으로 은 지불
  • 영국에 구룽반도 할양


이후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는 데 중재하여 도움을 준 러시아 제국에게도 연해주 지역을 할양하게 된다.

4. 전쟁의 결과 및 영향

공친왕과 영-프 연합군의 협상으로 전쟁은 종결되었고, 러시아 제국의 중재하에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었다.[1] 이 조약으로 청 조정은 톈진 조약을 인정하고, 아편 거래를 합법화했다. 또한 외국 공사의 베이징 주재, 톈진 등 11개 항구 개항, 내륙에서의 여행, 통상, 포교의 자유, 장강 및 통상 항구로의 군함 진입권, 청나라 노동자의 이민 허용, 영국과 프랑스에 전쟁 배상금 지불, 영국홍콩 인접 구룽반도 할양 등 막대한 손해를 보았다.[1]

베이징 조약 체결에 도움을 준 러시아 제국에게는 연해주 지역을 할양했다.[1]

제2차 아편전쟁의 패배는 청나라에 살고 있던 한족들에게 제1차 아편전쟁의 패배보다 훨씬 큰 충격을 주었다. 청 황제의 피신과 베이징 점령은 단순한 전쟁 패배가 아니라 한족의 머릿속에 박혀있던 중화사상을 뿌리부터 뒤흔드는 사건이었다.[1]

이후 청 조정은 서양 문물에 대한 반감을 버리고 양무운동을 실시했다.[1] 또한 청과의 조약으로 이권을 확보한 서양 세력은 태평천국 토벌을 도왔다.[1]

4. 1. 청나라의 쇠퇴와 서구 열강의 침략 가속화

러시아 제국의 중재로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면서 제2차 아편전쟁은 막을 내렸다. 청나라는 이 조약으로 톈진 조약을 인정하고 아편 거래를 합법화해야 했다.[6] 외국 공사들의 베이징 주재, 톈진을 포함한 11개 항구 추가 개항, 내륙 여행 및 통상, 포교의 자유, 장강 및 통상 항구로의 군함 진입권, 청나라 노동자 이민 허용, 영국과 프랑스에 대한 전쟁 배상금으로 은 800만 냥 지불, 홍콩 인근 구룡반도(주룽사) 할양 등 청나라는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28]

1858년 톈진 조약 서명


베이징 조약 체결에 도움을 준 러시아 제국에게는 연해주 지역을 할양했다.[24] 이로 인해 러시아는 블라디보스토크라는 부동항을 얻게 되었다.

제2차 아편전쟁의 패배는 청나라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함풍제의 피신과 베이징 점령은 단순한 전쟁 패배를 넘어, 중화사상을 뿌리부터 뒤흔드는 사건이었다.

이후, 서양 문물에 대한 반감을 버리고 양무운동을 실시하게 되었다.[35] 그러나 이는 서구 열강의 경제적 침투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청나라와의 조약을 통해 이권을 확보한 서양 열강은 태평천국 토벌을 지원하기도 했다.

4. 2.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변화

러시아 제국의 중재로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면서 제2차 아편 전쟁은 끝났다.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톈진 조약을 인정하고 아편 거래를 합법화해야 했다. 또한 외국 공사의 베이징 주재, 톈진 등 11개 항구 개항, 내륙 여행, 통상, 포교의 자유, 장강 및 통상 항구로의 군함 진입권, 청나라 노동자 이민 허용, 영국과 프랑스에 전쟁 배상금 지불, 영국에 홍콩 인접 구룽반도 할양 등 막대한 손해를 보았다.[1]

베이징 조약 체결을 도운 러시아 제국에는 연해주 지역을 할양했다.[1]

제2차 아편 전쟁 패배는 청나라 한족에게 제1차 아편 전쟁 패배보다 훨씬 큰 충격을 주었다. 청 황제의 피신과 베이징 점령은 단순한 전쟁 패배를 넘어, 한족의 중화사상을 뿌리부터 뒤흔드는 사건이었다.[1]

이후 서양 문물에 반감을 가진 청 조정은 양무운동을 실시했다. 청나라와 조약을 맺어 청나라 내 이권을 확보한 서양 세력은 청나라 남부에서 영향력을 떨치던 태평천국 토벌을 도왔다.[1]

4. 3. 일본에 미친 영향

미일 화친 조약에 따라 1856년 여름, 미국 영사 타운젠드 해리스가 이즈의 시모다에 부임했다. 해리스는 미일 수호 통상 조약 체결 과정에서 애로호 전쟁과 인도 대반란을 언급하며 영국이 일본에 출병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에도 막부에 압력을 가했다.

5. 한국사와의 관련성

제2차 아편 전쟁은 조선의 개화파 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서구 열강의 침략적 본성을 명확히 인식시키고, 서구 문물을 수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루어야 한다는 개화사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는 제2차 아편전쟁에서 패배한 후 양무운동을 실시한 청나라를 모델로 삼아 조선의 근대화를 추진하려 했다.[28] 그러나 이러한 개화파의 노력은 일본의 침략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제2차 아편전쟁을 서구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적 행위로 규정하고,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자주적인 외교 정책과 국방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 전쟁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실리 외교와 한미동맹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서적 Frontier and Overseas Expeditions from India https://archive.org/[...]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2] 서적 Narrative of the War with China in 1860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and Roberts
[3] 서적 Histoire du Japon des origines a Meiji PUF
[4] 웹사이트 The Opium Wars in China https://asiapacificc[...] 2021-11-28
[5] 웹사이트 The Second Opium War https://www.historic[...] 2021-11-28
[6] 웹사이트 Young American's first-hand account of second opium war https://www.scmp.com[...] 2023-01-03
[7] 웹사이트 British Imperialism in China https://blogs.bu.edu[...] 2023-01-03
[8]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1841–1997 https://books.google[...] I.B. Tauris
[9] 웹사이트 China's Road to Modernity: from Empire to Republic (1817–1949) (Hao Gao) https://www.gale.com[...] 2023-10-10
[10] 웹사이트 "The Opium War" labeled as the beginning of modern China's history of humiliation https://ebrary.net/3[...] 2023-10-10
[11] 웹사이트 The Opium War and the Opening of China https://worldhistory[...] 2023-10-10
[12] 서적 Canton, China https://books.google[...]
[13] 뉴스 Bombardment at Canton 1857-01-19
[14] 서적 British Electoral Facts 1832–1999 Ashgate
[15] 서적 Deadly Dreams: Opium and the Arrow War (1856–1860)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Victoria's Wars: The Rise of Empire Penguin Books
[17] 웹사이트 Opium Wars https://www.mtholyok[...] 2018-09-04
[18] 서적 History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Vol I The Institution of Royal Engineers
[19] 서적 Hong Kong in Chinese History: community and social unrest in the British Colony, 1842–1913
[20] 웹사이트 The Anglo-French Occupation of Canton, 1858–1861 https://sagethoughts[...] Royal Asiatic Society Hong Kong Branch
[21] 웹사이트 Chap on Hong Kong http://irc.aa.tufs.a[...]
[22] 서적 Speeches on Questions of Public Policy
[23] 웹사이트 The Evil Trade that Opened China to the West http://faculty.quinn[...] 2014-09-21
[24] 웹사이트 About Vladivostok https://forumvostok.[...] 2024-04-22
[25] 문서 Greenwood, ch. 12
[26] 서적 China: Being a Military Report on the North-eastern Portions of the Provinces of Chih-li and Shan-tung, Nanjing and Its Approaches, Canton and Its Approaches: Together with an Account of the Chinese Civil, Naval and Military Administrations, and a Narrative of the Wars Between Great Britain and China https://books.google[...] Government Central Branch Press
[27] 서적 A People Misruled: Hong Kong and the Chinese Stepping Stone Syndrome API Press
[28] 서적 The Dragon Wakes Penguin Book
[29] 간행물 Lord Elgin and the Burning of the Summer Palace 1960-07
[30] 서적 How we got to Pekin: A Narrative of the Campaign in China of 1860 https://books.google[...]
[31] 서적 A biographical sketch-book of early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32] 서적 Letters and Journals of James, Eighth Earl of Elgin Outlook Verlag
[33] 백과사전 Encyclopedias and Dictionaries
[34] 웹사이트 An Encyclopedia Finished in 1408 That Contained Nearly One Million Pages https://www.todayifo[...] 2011-04-06
[35]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36] 서적 Crusaders Against Opium: Protestant Missionaries in China, 1874–191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37] 서적 Opium: Uncovering the Politics of the Popp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William Gladstone: New Studie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39] 서적 The Making of Addiction: The 'Use and Abuse' of Opium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40] 서적 Opium Wars: The Addiction of One Empire and the Corruption of Another https://books.google[...] Sourcebooks, Inc.
[41] 서적 The Opium Wars: The Addiction of One Empire and the Corruption of Another https://books.google[...] Sourcebooks
[42] 서적 The Opium War, 1840–1842: Barbarians in the Celestial Empire in the Early P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War by which They Forced Her Gates Ajar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43] 서적 Gladstone and Women https://books.google[...] A&C Black
[44] 서적 William Ewart Gladstone: Faith and Politics in Victorian Britai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45] 웹사이트 アロー戦争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3-12
[46] 웹사이트 辞典 https://kids.gakken.[...]
[47]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48]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